자극적 콘텐츠: 글로벌 크리에이터가 마주한 책임과 윤리
지난 4월 2일, 필리핀 경찰은 수도권 타귁시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BGC)에서 러시아계 미국인 유튜버이자 몰래카메라 영상 제작자인 비탈리 즈도로베츠키(Vitaly Zdorovetskiy)를 체포했다고 밝혔다. 즈도로베츠키는 유튜버 사용자명 ‘VitalyzdTv’로 악명이 자자한 인물로 그동안 행했던 일로 인해 브라질, 미국, 이집트 등에서 체포된 적이 있었다. 필리핀에서 그가 체포된 것은 킥(Kick)을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한 이후였다. 즈도로베츠키는 공공장소에서 사람들을 괴롭히고, 경비원용 순찰 이륜차를 훔치거나 모자를 반복적으로 빼앗고, 식당 대형 선풍기를 호텔로 가져가는 등 기행을 일삼았다. 또한 한 여성을 강도 행위를 할 것처럼 위협했으며, 필리핀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인 지프니 지붕에 오르거나, 맥도널드 주방에 무단 침입했으며, 보라카이에 가서는 서핑 강사에게 모욕적인 발언을 하는 등 문제 행동을 저질렀다.
이런 행동들은 킥 플랫폼을 통해 생중계가 됐고 이를 접한 필리핀 국민들은 분노했다. 필리핀 경찰은 경고·소란(Alarm and Scandal), 절도미수(Attempted theft), 괴롭힘(Harassment), 불법촬영(Unauthorized public filming) 등 다양한 혐의로 즈도로베츠키를 체포했다. 필리핀 이민국은 그를 ‘바람직하지 않은 외국인(Undesirable alien)’으로 규정했고, 내무지방자치부(DILG)는 그를 ‘도주 우려(Flight risk)’가 있는 인물로 판단했다. 체포된 즈도로베츠키는 추방되지 않고 필리핀 이민국 비쿠탄 수용소(Bicutan Detention Center)에 수감된 상태로 재판을 기다리고 있다. 즈도로베츠키가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최대 24년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이는 그동안 받아온 어떤 처벌보다 무거운 형벌이다. 필리핀 당국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은 자국민에 대한 괴롭힘이나 불법 행위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했다.
한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다. 램지 칼리드 이스마엘(Ramsey Khalid Ismael), 활동명 조니 소말리로 악명 높은 미국인 유튜버가 한국에서 체포됐다. 이스마엘은 2024년 9월, 한국 입국 이후 각종 도발적이고 논란이 되는 행동을 벌여 사회적 비난과 법적 처벌이 예상되는 인물이다. 이스마엘은 편의점에서 라면 국물을 탁자에 붓거나 시민에게 라면을 던지는 등 민폐 행위를 반복했으며, 지나는 행인에게 성희롱·인종차별적 발언 등을 일삼았다. 또한 욱일기를 흔들거나 소녀상을 모욕하는 등 한국민을 자극하는 동영상을 제작하다가 출국 금지됐으며 현재는 재판을 받고 있다. 한국인들은 그가 저지른 행동을 단순한 개인 일탈이 아니라 역사적 아픔과 사회적 규범을 조롱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스마엘은 논란 이후 소녀상 의미를 몰랐다며 사과 영상을 올렸으나, 진정성이 없는 사과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현재 업무방해, 모욕, 폭행 등 혐의로 기소되어 법적 절차가 진행 중이다.
비탈리 즈도로베츠키와 램지 칼리드 이스마엘(조니 소말리)은 각기 마닐라와 서울에서 현지 문화를 조롱하거나 시민들을 괴롭혔고 더 나아가 불법적인 일을 저질러 사회적인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유튜브, 킥 등 스트리밍 플랫폼은 조회 수와 구독자 수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기에 수익을 내기 위해 제작자들은 자극적이고 극단적인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 두 사람 모두 수익 창출을 위해 공공장소에서 난동, 괴롭힘, 역사적 상징 조롱 등 극단적인 행위로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그 결과 단기적인 인기와 경제적 보상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 플랫폼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유해 콘텐츠를 감지하고, 해당 영상이나 채널에 대한 수익을 차단하거나 삭제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알고리즘에 대한 기준이 모호하며,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발생한 후에 조치가 이뤄지는 등 자정작용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콘텐츠 제작자와 플랫폼, 그리고 사회가 마주한 윤리적·제도적인 부분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됐다. 다른 나라를 여행하면서 콘텐츠를 만드는 경우에는 현지 문화와 법 그리고 사회적 맥락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단순히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는 차원을 넘어 다양한 시청자들과 함께 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다. 여행을 주제로 동영상을 만들거나 해외에 거주하면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에 현지 사회에서 신뢰를 얻는 것은 장기적 활동을 위한 초석이다. 일시적 관심을 위해 사회 규범을 무시하면, 법적 제재뿐 아니라 현지 커뮤니티와 단절, 플랫폼 내 신뢰 상실 등 콘텐츠와 채널 존립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제작자들은 단순한 정보 제공자를 넘어, 자국을 대표하는 ‘비공식 대사’ 역할과 함께 현지 문화를 소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이 만드는 콘텐츠는 관광지 이미지, 현지인에 대한 인식, 민간 교류 등에 실질적 영향을 미친다.
비탈리 즈도로베츠키와 램지 칼리드 이스마엘과 같은 이들을 영어로 ‘누선스 인플루언서(Nuisance influencers)’라고 한다. 이들이 저지를 행위와 처벌에 대해서 여러 나라가 주목하고 있으며, 이들이 저지른 사건은 자신들이 주장하는 ‘장난’과 ‘도발’이 실제로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현지법과 문화를 존중하지 않는 콘텐츠는 단순한 논란을 넘어, 채널과 콘텐츠 제작자에 대한 신뢰 상실과 수익 창출 차단 그리고 더 나아가 법적 처벌로 이어질 수 있다. 국경을 쉽게 넘나들고 있는 시대에 이러한 동영상은 해당국만이 아니라 동영상을 시청하는 모든 이들에게 영향을 준다. 콘텐츠 제작자는 윤리적 기준과 문화적 감수성을 갖추고, 플랫폼과 커뮤니티는 적극적 규제와 경각심 제고에 힘써야 한다. 이는 해외에서 활동 중인 한국인 콘텐츠 제작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스스로가 국가를 대표하는 ‘비공식 대사’이자 동시에 영향력 있는 ‘콘텐츠 제작자’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참고자료
- 《NBC News》 (2024. 11. 13). American livestreamer indicted in South Korea over offensive antics, https://www.nbcnews.com/news/world/johnny-somali-indicted-south-korea-american-live-streamer-travel-ban-rcna179921
- 《South China Morning Post》(2025. 3. 12). US live-streamer Johnny Somali faces deportation from South Korea after guilty pleas, https://www.scmp.com/week-asia/people/article/3302075/us-live-streamer-johnny-somali-faces-deportation-south-korea-after-guilty-pleas
- 《ABS-CBN News》 (2025. 4. 7). DILG: Russian YouTuber Vitaly Zdorovetskiy to face raps in PH, won't be deported yet, https://www.abs-cbn.com/news/nation/2025/4/7/dilg-russian-youtuber-vitaly-to-face-raps-in-ph-won-t-be-deported-yet-1534
- 《ABS-CBN News》 (2025. 4. 13). ‘Pwede ko bang murahin?’: Marcos Jr. says arrested Russian vlogger ‘crazy’, https://www.abs-cbn.com/news/nation/2025/4/13/-pwede-ko-bang-murahin-marcos-jr-says-arrested-russian-vlogger-crazy-2250
- 《GMA Network》(2025. 5. 8). ollow PH laws, Moscow envoy tells nationals after Russian vlogger's arrest, https://www.gmanetwork.com/news/topstories/nation/945432/moscow 《South China Morning Post》(2025. 3. 12). US live-streamer Johnny Somali faces deportation from South Korea after guilty pleas,
- 《South China Morning Post》(2025. 5. 29). Johnny Somali’s trial in South Korea highlights rising concern over ‘nuisance influencers’, https://www.scmp.com/week-asia/people/article/3312306/johnny-somalis-trial-south-korea-highlights-rising-concern-over-nuisance-influencers
- 《GMA Network》(2025. 5. 30). Detained Russian vlogger asks DILG chief Remulla to drop charges, https://www.gmanetwork.com/news/topstories/nation/947906/detained-russian-vlogger-asks-dilg-chief-remulla-to-drop-charges/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