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디지털 경쟁력, 어두운 것으로 보여

2025. 2. 1. 15:43필리핀/뉴스와 통계

반응형

필리핀 언론 《Philstar》는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인용하여 8개국 국민 중 필리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촬영 후 사진을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설문조사를 보면 필리핀 응답자 중 50%가 소셜 미디어에 사진을 올리며, 그들 가운데 47%는 소셜 미디어에 올리기 위해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Time》은 전 세계 459개 도시 중 필리핀 금융 중심지인 마카티시를 ‘세계 셀피 수도’로 선정했다. 스스로를 촬영한 사진을 뜻하는 영어 단어 ‘셀피(Selfie)’를 분석한 결과, 마카티가 1인당 가장 많이 셀피를 촬영하는 도시로 밝혀졌다.

온라인에 사진을 올리는 행동은 자신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지만 동시에 기록을 남기는 것도 된다. 필리핀 사람들은 자신을 알리고 관계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렇기에 필리핀은 세계 소셜 미디어 업계에서도 유명하며, 특히 2008년에 등장한 페이스북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국가이기도 하다. 인터넷 및 스마트폰 보급이 증가하면서 많은 필리핀인들이 일상생활을 온라인에 공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는 이제 살아가는 데 있어 필수품이 됐다. 여기에 최근 몇 년 동안 인스타그램, 트위터, 틱톡, 유튜브 등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온라인에서 상호작용하는 방식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소셜 미디어는 의사소통만이 아니라 판매 플랫폼으로서 역할도 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소비자 사이에 다양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했으며, 인스타그램 또한 기업이나 브랜드 홍보를 위한 중요한 창구가 됐다. 젊은 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틱톡은 페이스북을 견제하는 강력한 도전자로 부상했다. 소셜 미디어는 일상을 공유하는 공간에서 금전이 오고 가는 공간으로 진화했으며, 여기에 더해 시민 참여와 같은 사회 운동을 비롯하여 공동체 활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만이 아니라 가짜 뉴스와 같은 유언비어 유포라는 취약한 부분도 소셜 미디어에는 존재한다.

작년 7월 기준, 필리핀 인구는 약 1억182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는 아세안에서는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많다. 작년 기준 필리핀 중위 연령은 25.1세로, 아세안에서는 라오스(24.4세) 다음으로 젊은 국가이기도 하다. 역시 작년 기준 필리핀 인터넷 이용자는 전체 인구 중 73.6%에 해당하는 8698만명이며, 소셜 미디어 이용자는 전체 인구 가운데 73.4%인 8675만명에 달한다. 필리핀 내 16~64세 사이 인터넷 이용자 중 98.7%는 휴대전화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으며, 이들 중 95.5%는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다. 필리핀 인구 가운데 70%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젊은 세대 대부분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셜 미디어를 포함한 온라인 활동에 참여하는 필리핀 사람들은 많지만 디지털과 관련하여 필리핀 앞날은 어둡기만 하다. 작년 6월, 스위스 경영개발대학원(IMD)은 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IMD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를 발표했다. 이 평가는 스위스 경영개발대학원이 매년 각국 통계 정보와 경영진 인터뷰 등을 토대로 집계해 공표하는 것으로, 2017년부터 2022년까지는 63개국, 2023년에 64개국 그리고 2024년 67개국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해당 순위는 ‘지식(Digital Knowledge)’, ‘기술(Digital Technology)’, ‘미래 대비(Future Readiness)’ 등 세 가지 요소를 종합하여 결정한다.

2024년에 1위를 차지한 국가는 싱가포르였고, 2위는 스위스, 3위는 덴마크, 4위는 미국, 5위는 스웨덴 순이었으며, 뒤를 한국(6위), 홍콩(7위), 네덜란드(8위), 대만(9위), 노르웨이(10위)까지 10위권을 형성했다. 캐나다, 중국, 호주, 이스라엘은 차례대로 13위, 14위, 15위와 16위를 기록했으며 뒤를 이어 영국(18위), 프랑스(20위)까지 20위 안에 들었다. 2017년부터 발표한 이 평가 결과에서 한국은 2017년 19위, 2018년 14위, 2019년 10위, 2020년 8위, 2021년 12위, 2022년 8위 그리고 2023년과 2024년에는 동일하게 6위를 기록하면서 전반적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를 제외하고 아세안 지역에서는 말레이시아(36위)가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뒤를 이어 태국(37위), 인도네시아(43위), 필리핀(61위) 순이었다. 이번 평가에서 61위를 기록한 필리핀은 2017년에 46위를 기록한 이래 지속적으로 순위가 하락하고 있다. 필리핀은 지식 부문에서 64위, 기술 부문 56위 그리고 미래 대비 부문에서는 58위로 디지털 지식과 미래 대비 부문에 취약점을 노출했다. 세부 항복을 일부 살펴보면 연구개발 투자에서 55위, 1인당 연구개발비 56위 그리고 컴퓨터공학교육지수에서 57위 등 낮은 수치를 기록한 반면 인터넷 가입자 수(26위), 세계화 지수(28위)는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알파세대’라는 용어를 만든 사회 연구학자이자 미래학자 마크 맥크린들(Mark McCrindle)이 이끄는 맥크린들 연구소(McCrindle Research)는 2025년부터 2039년 사이에 태어날 베타 세데(Generation Beta)가 인공지능(AI)과 자동화가 일상생활에 완전히 통합된 세상에서 성장하는 첫 번째 세대가 될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았다. 단순히 온라인을 이용하는 정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과 자동화가 결합된 새로운 세상이 펼쳐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필리핀 학자들은 디지털 불평등과 격차로 인해 필리핀은 이러한 전망과는 다른 사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필리핀 학자는 “알파 세대냐 베타 세대냐 하는 것보다 학교를 다닐 수 있을까? 대학을 졸업하고 좋은 직장을 얻을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먼저인 곳이 필리핀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학자 역시 인공지능이 다음 세대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믿지만 필리핀 내 상당 지역 인터넷 사정은 1990년대 또는 2000년대 초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필리핀 사람 다수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한다고 해도 지식정보화 시대에 정보 격차로 인한 빈부 격차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는 뜻이 된다. 21세기도 벌써 1/4이 지나가고 있지만 필리핀은 빈부 격차에 이어 디지털 격차에 대한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필리핀 정부는 작년부터 디지털 인프라 프로젝트(PIDP)를 시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2천만명 이상 되는 필리핀 국민이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계은행(WB)은 161억 페소(약 3천800억원)에 달하는 대출 승인을 통해 필리핀 정부를 지원하고 있다. 관련하여 정보통신기술부(DICT) 아이반 존 우이 장관은 취약한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여 교육, 의료 및 필수 정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확대에 좋은 기회라고 밝혔다. 국가경제개발청(NEDA) 역시 필리핀 전역의 인터넷망 확충으로 디지털 격차를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참고자료
- 《Philstar》 (2011. 8. 7). Survey shows that Filipinos are number one at taking pictures of themselves, https://www.philstar.com/lifestyle/gadgets/2011/08/07/713691/survey-shows-filipinos-are-number-one-taking-pictures-themselves-
- 《Time》 (2014. 3. 10). The Selfiest Cities in the World: TIME’s Definitive Ranking, https://time.com/selfies-cities-world-rankings/
- 《Philippines News Agency》 (2024. 11. 8). WB approves $287-M loan for expanding PH internet access, https://www.pna.gov.ph/articles/1237435
- 《ABS-CBN News》 (2025. 1. 4). Digital inequality may leave PH babies out of ‘Gen Beta’, https://www.abs-cbn.com/news/nation/2025/1/4/digital-inequality-may-leave-ph-babies-out-of-gen-beta-1115
- 데이터 리포털 홈페이지, https://datareportal.com/reports/digital-2024-philippines
- 스위스 경영개발대학원(IMD) 홈페이지, https://www.imd.org/centers/wcc/world-competitiveness-center/rankings/world-digital-competitiveness-ranking/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