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5. 17. 10:34ㆍ필리핀/뉴스와 통계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필리핀은 88.9%라는 한류에 대한 높은 호감도를 기록하며 조사 대상 26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필리핀 국민 10명 중 9명 가까이가 한국 문화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미다. 이 같은 한류 열풍은 단순히 케이팝이나 드라마에 국한되지 않고, 음식, 뷰티, 패션, 한국어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실제로 한류 경험자 중 한국 문화콘텐츠를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대중적 인기 단계’라고 평가한 비율은 음식(53.7%), 음악(51.2%), 뷰티(50.8%), 드라마(49%) 순으로 높았다. 2025 해외한류 실태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2024년 11월 29일부터 12월 27일까지 해외 28개국 한국문화콘텐츠 경험자 26,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한 결과물이다. 해당 조사에는 기존 11개 분야(드라마, 예능,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출판, 웹툰, 게임, 패션, 뷰티, 음식)에 ‘한국어’까지 더해 총 12개 분야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필리핀에서 한류가 가장 두드러지게 체감되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음식이다. 최근 몇 년 사이 필리핀 대도시 쇼핑몰과 번화가에는 한국 음식점만이 아니라 길거리 음식점을 파는 매장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청춘핫도그’와 같은 한국식 핫도그는 현지 젊은 세대와 가족 단위 고객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한국식 핫도그는 전통적인 미국식 핫도그와 달리 쫄깃한 쌀가루 반죽을 사용하고,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다. 치즈, 감자, 떡 등 다양한 고명과 속재료를 활용해 다양한 고객 기호에 대응하고 있다. 필리핀 거대 쇼핑몰 체인인 SM몰을 비롯해 대형 쇼핑몰에 ‘청춘핫도그’ 매장이 입점해 있다.
필리핀에서 한국식 핫도그가 인기를 끄는 배경에는 강력한 한류 콘텐츠 영향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류 콘텐츠를 경험한 필리핀인 중 81.6%는 한국 제품이나 서비스 소비에 한류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실제로 한류 경험자들은 한국 드라마, 예능, 유튜브, SNS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한국 음식을 접하고, 자연스럽게 한국식 핫도그와 같은 길거리 음식에도 호기심을 품는다. 특히 젊은 세대는 K-팝 아이돌과 한국 드라마 속 먹방, 길거리 음식 장면을 통해 한국식 핫도그를 ‘먹어보고 싶은 음식’으로 인식한다. 이처럼 한류는 단순한 문화 소비를 넘어, 실제 식생활과 소비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매장에서 만난 필리핀 가족은 “(한국 여행 때) 먹던 그 맛 그대로”라며 만족감을 표현했고, 드라마에서 접했다는 한 필리핀 10대는 “한국에서 파는 것과 같은 맛인지는 모르겠지만 드라마로 보는 것만이 아니라 실제로 먹어볼 수 있어서 좋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렇게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는 데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청춘핫도그’와 ‘명랑핫도그’ 등 한국식 핫도그 브랜드들은 필리핀 시장에서 현지화 전략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치즈, 감자, 떡 등 다양한 고명을 추가하고, 현지인 입맛에 맞는 양념과 음료도 제공하고 있다. 매장 인테리어 역시 한글 간판과 한국적인 감성을 강조해, ‘한국스러움’ 경험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필리핀 내 한국식 핫도그 매장은 주로 대형 쇼핑몰, 번화가, 학교 근처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한국식 핫도그는 쫄깃한 쌀 반죽과 바삭한 튀김옷, 다양한 속재료가 어우러진 독특한 맛으로 맛과 식감에서 차별성이 있다. 여기에 더해 SNS와 온라인 마케팅: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한 바이럴 마케팅이 젊은 세대에게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5년에도 필리핀 내 한류 열풍은 지속될 전망이다. 필리핀은 한국 관광, 음식점 식사, 전통문화 체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제품과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소비하고 있다. 특히 한류가 한국 제품·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80%를 넘어서며, 한국식 핫도그를 비롯한 K-푸드 브랜드의 성장 가능성도 매우 높다. 한국 정부와 기업은 한류 연계 산업 진흥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 중이며, 앞으로도 현지화와 품질 향상을 통해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에서 한류는 단순한 문화 현상을 넘어, 생활 속 소비와 경험 일부로 자리 잡았다. 한국식 핫도그 인기와 확산은 한류 영향력과 현지화 전략이 결합된 대표적 성공 사례로, 앞으로도 필리핀에서 한류와 K-푸드 동반 성장은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자료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 https://hallyuresearch.kofice.or.kr/bbs/board.php?bo_table=report&wr_id=83&sca=%ED%95%B4%EC%99%B8%ED%95%9C%EB%A5%98%EC%8B%A4%ED%83%9C%EC%A1%B0%EC%82%AC
'필리핀 > 뉴스와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필리핀 방문한 한국 연예인들 (4) | 2025.05.01 |
---|---|
2025년 5월, 필리핀 방문 예정인 한국 연예인들 (3) | 2025.04.30 |
‘롤로 키코(Lolo Kiko)’를 추모하며…필리핀, 프란치스코 교황이 가시는 길에 눈물 쏟아 (2) | 2025.04.29 |
필리핀 관광객, 부활절 연휴 동안 일본 대신 한국·대만 향할 듯 (6) | 2025.04.18 |
2025년 3월, 필리핀 방문한 한국 연예인들 (1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