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2. 11:09ㆍ인도네시아/뉴스와 통계
<인도네시아 식품수입국 현황>에 따르면 2022년 인도네시아 식품 수입액은 약 282억5169만 달러로, 2021년 대비 15.5% 증가했다. 2022년 인도네시아 식품 수입액 중 한국은 0.8% 비중으로, 액수로는 약 2억2262만 달러, 2021년 대비로는 15.7% 증가한 것이다. 한편 <농식품 수출정보>에 따르면 2022년 인도네시아에 대한 한국산 식품 수출액은 약 3억1831만 달러로, 2021년 대비 11.5% 증가했다.
<농식품 수출정보> 기준 2022년 인도네시아에 수출된 한국산 식품 중 라면 수출액은 4.4%로, 3.6%를 차지한 건조 김과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2018년 약 1815만 달러이던 인도네시아에 대한 라면 수출액은 2019년 약 2189만 달러로 최고액을 기록했다. 이후 2020년 1199만 달러, 2021년 약 1164만 달러로 감소했다가, 2022년에는 전년 대비 21.3% 증가한 1413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한국 라면 업계는 2023년에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라면 수출액은 약 9억5240만 달러로, 2022년 대비 24.4% 증가한 것이다. 2021년 6억7440만 달러이던 라면 수출액은 2022년 7억6540만 달러에서 2023년에는 9억 달러가 넘는 규모로 성장했다. 라면 수출 상위 5개국은 중국(22.6%), 미국(13.3%), 네덜란드(6.4%), 일본(6.1%), 말레이시아(4.73%) 순이었다. 네덜란드로 수출은 102.1%, 미국으로는 66.2% 그리고 말레이시아로 수출은 2022년 대비 51.4%나 증가했다.
1997년 3월 오사카에 설립된 세계라면협회(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WINA)가 2024년 5월 13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23년 기준 전 세계 라면 소비량은 1202억1000만 그릇이었다. 이는 5년 전인 2019년 1064억2000만 그릇과 비교할 때 12.96% 증가한 것이지만 2022년(1212억)과 비교할 때는 0.82% 감소한 것이다.
2023년 라면 소비량 1위는 422억1000만 그릇을 소비한 중국/홍콩이었다. 2위는 145억 4000만 그릇을 소비한 인도네시아였고, 인도(86억8000만), 베트남(81억3000만) 그리고 일본(58억4000만)이 뒤를 이었다. 6위 미국(51억), 7위 필리핀(43억9000만), 8위는 한국(40억4000만)이었으며 9위와 10위는 태국(39억5000만)과 나이지리아(29억8000만)였다.
13위 말레이시아는 16억4000만 그릇, 17위 대만은 9억1000만 그릇이었으며, 21위 호주는 5억 그릇을 소비했다. 한국은 인구가 1억에 가깝거나 1억이 넘는 인도네시아, 일본, 베트남, 필리핀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라면 소비량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국가에서 판매하는 라면 크기가 한국보다 작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 소비량은 일본 이상이며 베트남과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라면협회 자료를 보면 한국 소비자들은 소고기와 해산물 육수에 고추가 들어간 매운맛 국물에, 감자 전분이 들어간 두껍고 탄력 있는 면을 좋아한다. 필리핀 소비자들은 ‘판싯 깐똔(Pancit Canton)’이라는 비빔면이나 볶음면을 선호하며, 신맛이 나는 깔라만시와 고추가 내는 매운맛을 좋아한다. 한편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은 커리와 똠얌맛 육수를 선호하며, 볶음면도 좋아하지만 돼지고기와 소고기가 들어간 제품은 찾아보기 어렵다.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은 ‘미 고렝(Mie Goreng)’이라는 볶음면이나 비빔면 같은 라면을 가장 좋아하며, 채소, 닭고기, 새우맛과 선호한다. 87% 이상이 무슬림인 인도네시아에서 판매되는 대부분 라면은 할랄 인증을 받은 상태이다. 인도네시아는 2024년 10월 17일부터 2014년에 제정된 ‘할랄제품보장법(Undang-Undang Republik Indonesia Nomor 33 Tahun 2014 Tentang Jaminan Produk Halal)’을 적용해 자국 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식음료 제품에 대해 할랄인증을 의무화한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한국과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은 비빔면이나 볶음면도 먹지만 육수가 있는 라면을 좋아하며,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소비자들은 국물이 있는 라면보다는 볶음면 형태인 라면을 좋아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볶음면을 좋아하는 것으로 보이는 인도네시아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한국 라면 인기는 지속적으로 상승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내 많은 슈퍼마켓과 편의점에서 한국 라면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인도네시아 대표라면 ‘미 스답(Mie Sedaap)’은 지난 2019년 7월에 열린 ‘박람회(We The Fest 2019)’에 ‘한국 양념 닭갈비(Korean Spicy Chicken)’라고 한글을 사용한 라면을 내놓았다. 당시 미 스답 관계자(Mita Ardiani)는 한국 대중문화를 좋아하고 한국식 생활을 동경하는 젊은 세대만이 아니라 부모 세대로 한국식 매운맛을 즐기고 있어 해당 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미 스답은 한국 라면처럼 두껍고 탄력 있는 면발과 매운맛을 더하기 위해 양파를 첨가했다. 해당 라면은 추가 양념을 통해 맵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도네시아 내 첫 인스턴트 라면이기도 했다. 2022년 기준 인도네시아 봉지라면 시장에서 미 스답은 약 16.9% 점유율로, 약 54.7% 점유율로 1위인 인도미(Indomie) 다음을 기록하고 있다. 삼양은 0.7%로 8위, 농심은 0.2%로 13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인도미, 미 스답 그리고 9.7% 점유율로 3위인 사리미(Sarimi)가 전체 인도네시아 라면시장 중 약 81.3%를 차지할 정도 자국 라면이 강세인 곳이다.
미 스답 이외에 한글이 표기된 아리랑(Arirang) 라면도 있다. 이 라면은 인도네시아 회사(PT Jakarana Tama)가 생산하는 한국식 라면이다. 아리랑 라면은 맛과 포장 방식에서 한국 라면과 유사하며, 무슬림 소비자를 위해 할랄 인증을 받은 라면이다. 2020년 11월 온라인을 통해 불고기, 사골, 카레 등 세 가지 맛을 출시했으며, 2021년 초부터는 매장에서도 판매하고 있다. 세 가지 맛 이외에도 크림 라면, 매운 김칫국 라면, 볼로냐 라면, 한국식 매운 비빔면에 이어 냉라면인 맛있는 닭고기 라면 등도 판매하고 있다.
2019년 이후 감소세를 보였던 인도네시아에 대한 한국 라면 수출은 2022년에 회복세로 돌아섰다. 한국 라면 수출 시장에서 인도네시아는 20위권 수준으로 비중이 높지는 않다. 하지만 한국(식) 라면에 대한 수요는 늘고 있으며, 특히 인도네시아 젊은 층과 한류 팬들 사이에서 인기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드라마, 음악, 영화 등 한국 콘텐츠에 대한 인기가 지속되고, 새로운 맛과 품질 좋은 한국 라면이 지속적으로 출시된다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한국 라면 점유율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자료
- https://www.kati.net/board/exportNewsView.do?board_seq=89067&menu_dept2=35&menu_dept3=71
- https://instantnoodles.org/en/noodles/demand/table/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JSESSIONID_KITA=7E7DA0E05AC5A46CCF7B5D95B2FD0219.Hyper?no=66458&siteId=2
- https://m.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8014#pressRelease
- https://www.kati.net/board/boardView.do?board_seq=99526&menu_dept2=34
- https://www.grandculture.net/daegu/toc/GC40003868
- https://www.topbusiness.id/44294/arirang-mie-korea-produksi-indonesia.html
- https://www.instagram.com/arirang.taste/
- https://www.facebook.com/arirang.taste
'인도네시아 > 뉴스와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 (0) | 2024.06.08 |
---|---|
2023년 인도네시아 방문 외국인 통계 (0) | 2024.06.06 |
6월에 인도네시아를 찾는 한국 연예인들 (0) | 2024.05.31 |
발리에서 열리는 제10차 세계물포럼(10th World Water Forum) (0) | 2024.05.20 |
‘내맘대로 패키지 시즌2: 픽미트립 인 발리’ 출연진과 제작진, 발리에 구금 중 (2) |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