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15. 01:07ㆍ필리핀/역사와 사회
사진은 필리핀 통합사관학교(Philippine Military Academy, PMA)에 가는 길에 마주한 활주로로, 이 공항(Loakan Airport)은 1934년에 건설된 바기오 내 유일한 공항이다. 일본이 필리핀을 침공하면서 1941년 12월부터는 일본군이 사용하기도 했으며, 민항기도 이착륙하던 공항이었지만 짧은 활주로와 기상 여건 등이 좋지 않아 오랫동안 민항기 운항이 중단되기도 했었다. 2022년 12월부터 바기오-세부 구간 운항이 시작했으나 올해 7월 1일 날짜로 중단될 예정이다.
필리핀 사관학교 전신은 1905년 2월 17일 마닐라 인트라무로스(Intramuros)에 설립된 필리핀 경비대(Philippine Constabulary)라고 할 수 있다. 필리핀 경비대는 1908년 9월 1일, 바기오에 있는 캠프 헨리 앨런(Camp Henry Allen)으로 이전했으며, 1916년 2월 4일에 필리핀 경비대 장교 육성을 위한 과정이 신설됐다. 이후 1935년에 제정된 국방법(National Defense Act of 1935)에 따라 1936년 12월 21일, 바기오에 필리핀 통합사관학교가 개교했다.
필리핀 통합사관학교는 미국 웨스트포인트에 있는 미국육군사관학교를 본떠서 설립됐으며, 초기 미국 육군 장교들이 교관으로 근무했다. 사관학교가 설립된 1935년 12월 21일에 필리핀 육군(Army of the Philippines)도 창설됐으며, 기존 필리핀 경비대는 육군에 통합됐다. 4년 동안 교육과 훈련을 마친 필리핀 통합사관학교 첫 졸업생 79명은 1940년에 배출됐으며, 졸업생 중 퀴리코 에반젤리스타(Quirico Evangelista)와 레이날도 멘도자(Reynaldo Mendoza)가 사관학교 교가 <PMA, Oh Hail to Thee>를 작곡했다.
일본과 전쟁 중인 1942년과 1943년 졸업 생도들은 모두 조기 졸업 후 바탄 반도 전투를 비롯한 여러 전투에 참여했으며, 그 결과 젊은 장교들 다수가 전사했다. 필리핀 통합사관학교는 종전 후인 1947년 5월 5일, 이전과 같이 캠프 헨리 앨런에서 재개교했으며, 이후 사관학교 확장으로 인해 현재 자리로 이전했다. 1960년대에는 다양한 인재 육성에 관한 논의 끝에 기존 과정에 인문학 과목이 추가되는 등 교육과정에 변화도 있었다.
1987년 3월 18일, 필리핀 통합사관학교에서 폭발물이 터져 대령과 사병 두 명 그리고 민간인 포함 총 4명이 사망하고, 민간인 17명 포함 38명이 부상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독재자였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Ferdinand Marcos) 대통령이 하야하고 제11대 코라손 아키노(Corazon Aquino)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 군부는 몇 차례 쿠데타를 시도했다. 1987년 8월 쿠데타 당시에도 통합사관학교 생도 863명은 쿠데타를 지지하며, 8월 29일에 바기오 점령을 시도했으나 쿠데타 실패 소식을 듣고 계획을 중단했다.
당시 부통령이던 살바도르 로만 이달고 로렐(Salvador Roman Hidalgo Laurel) 부통령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들은 생도들과 만났다. 이후 사관학교는 이틀 동안 수업을 중단하고, 정치에 개입하려고 했던 생도 전원을 90일 동안 학교 내에 감금하는 조치를 취했다. 한편 동년 12월 1일, 필리핀 특수부대와 해병대 병력 1000명이 마닐라에 모여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필리핀에 주둔 중인 미군이 정부군과 함께 진압에 나서면서 해당 쿠데타는 불발로 끝났다.
한편 개교 이래 남자 생도만 선발하던 필리핀 통합사관학교가 첫 여자 생도를 받아들인 것은 1993년이다. 한국은 1997년, 공군사관학교에 처음으로 여생도가 입교했고, 1998년에 육군사관학교 그리고 1999년에는 해군사관학교에도 여자 생도가 입학했다. 관광객들도 많이 찾는 필리핀 통합사관학교 내에는 필리핀군이 운용하던 전차와 장갑차를 비롯하여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무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2022년 2월 18일부터는 필리핀 공군에서 퇴역한 고정익기와 회전익기도 사관학교 부지 내에 전시 중이다.
올해 5월 18일, 생도 278명이 사관학교 졸업 후 임관했다. 278명 가운데 남생도 224명, 여생도는 54명이었다. 여생도인 제네스 엘룸바(Jeneth Elumba)가 우등 졸업 영예를 안았으며, 상위 10위 중 여생도는 1위를 포함하여 4위, 5위, 6위, 8위, 9위 그리고 10위까지 총 7명이었다. 바랑가이 캡틴인 엘룸바 아버지는 범죄학 학위에도 불구하고 제복 입는 기관에서 일할 수 없었고, 그러한 아쉬움에 딸에게 사관학교 입학을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엘룸바는 필리핀 통합사관학교 졸업식에서 수석을 차지한 일곱 번째 여자생도이다. 1999년, 여자생도 입학이 허용된 이후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1등으로 졸업한 생도는 아를렌 델라 크루즈(Ensign Arlene dela Cruz)였다. 크루즈는 해군으로 복무 중이던 2008년 12월 2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이어서 2003년 타라 벨라스코(Tara Velasco), 2007년 안드릴리 모지카(Andrelee Mojica), 2017년 로비 마리엘 마르티네스(Rovi Mariel Martinez),
2019년 디온 매이 아폴로 우말라(Dionne Mae Apolog Umalla) 그리고 2020년 제말린 데오카레스 수구이(Gemalyn Deocares Sugui)까지 모두 1등으로 졸업한 여자생도이다.
필리핀 통합사관학교는 매년 약 400명에 달하는 생도를 선발하고 있다. 생도가 되기 위해서는 출생 시부터 필리핀 시민권자(Natural Born Filipino Citizen)이어야 하며, 신체 건강하고 품성이 좋고(Physically fit and of good moral character), 행정적/형사적 사건(No Administrative / Criminal Case)에 연루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혼인한 적이 없는 미혼(Single and has never been married)이어야 하며, 사관학교 입학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Must pass the PMA Entrance Examination). 생도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 생도 모두 신장은 152.4cm 이상, 193.04cm 미만이어야 한다(Height Requirement for both Male and Female is 5 feet (not to exceed 6'4" for both). 생도 지원자는 고등학교 졸업자이거나 12학년인 경우에는 시험 응시 다음 해 6월까지는 졸업해야 한다(At least High School Graduate or must graduate not later than June of the year following the date of examination taken for Grade 12 students). 또한 생도 지원자는 17세 이상이며 시험 응시일 다음 해 6월 1일에 22세 미만이어야 가능하다. 시험 응시 다음 해 6월 1일에 17세 미만이지만 최소한 16세 이상인 지원자도 지원 가능하며, 해당 지원가 합격하는 경우 미성년자 지원자를 위한 별도 절차가 적용된다(At least 17 years old but not a day older than a 22 years on 01 June of the year following the date of examination taken. Note: Applicants younger than 17 years old but or and atleast 16 years old on 01 June following the date examination may apply for cadetship provided that the applicant possesses the above mentioned qualifications. Should the applicant pass the qualifying exam, the procedure in handling the underage aplicants will apply).
1949년 3월 3일, 한국 정부는 아세안에서는 가장 먼저 필리핀과 정식 수교를 맺었고 올해는 양국 수교 75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수교 1년 후인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국제연합의 요청을 받은 필리핀은 필리핀한국원정군(Philippine Expeditionary Force to Korea)을 구성하여 파병했다. 필리핀은 미국과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전투병을 보냈으며,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가장 먼저 한국 땅을 밟았다.
필리핀한국원정군은 1950년 9월 2일 자국 역사상 처음으로 해외파병식을 갖고 9월 15일 미 수송선을 타고 마닐라항을 출발하여 9월 19일 부산항에 도착했다. 이후 10여 일간의 현지적응훈련을 마치고 사천으로 이동해 10월 1일 비행장 경비 임무를 시작으로 정전협정 이후인 1955년 5월까지 한국에 주둔하며 한반도 평화를 위해 힘을 썼다. 필리핀 정부는 6·25 전쟁 동안 총 7420명의 필리핀 군인을 한국에 파병했으며, 전쟁 동안 실종 16명, 포로 41명, 전사 또는 사망 112명, 부상 299명이라는 피해를 입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필리핀 통합사관학교 내에는 6.25 참전과 관련된 기념비도 있다. 해당 기념비는 지난 2010년 5월, 6.25 전쟁 및 한-필 수교 60주년 기념사업 일환으로 건립한 ‘한국전 참전 기념비(Korean War Memorial)’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필리핀 한국대사관 감독 하에 사업비 7300만원 들여 통합사관학교 내 시민광장에 설치됐다는 국내 언론 보도도 찾아볼 수 있다.
기념비와 관련하여 2011년 3월 4일, <강원도민일보>는 ‘필리핀에 세운 6·25 참전비 1년도 안돼 균열 국제 망신’이라는 기사를 내놓았다. 해당 기사를 보면 “기념탑 곳곳에 균열로 인한 실금이 선명하게 드러난 데다 비석 이음새에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틈이 벌어진 채 방치되고 있다”라는 내용이 있다. 보도 이후 기념비가 보수됐는지 여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방문했던 날을 기준으로 볼 때 기념비 관리에는 여전히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한국전 참전 기념비(Korean War Memorial)’ 옆으로 필리핀-미국 기념비도 있다.
중국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필리핀은 중국과 영토분쟁으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상대적으로 군사력이 열세인 필리핀은 공군 전력 증강을 위해 지난 2015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제작한 경공격기 FA-50PH 12기를 구매했다. 필리핀이 구매한 경공격기는 2015년 11월에 인도가 시작되어 2017년 5월에 완료됐으며, 2017년 반군을 제압했던 마라위 전투에서 그 위력을 입증했다.
필리핀 정부는 해군 현대화와 전력 증강을 위해서도 노력 중이다. 이를 위해 필리핀 해군은 ‘호라이즌(Horizon)’ 사업을 한국과 함께 추진 중이다. 필리핀 정부는 HD현대중공업에 2016년 호위함 2척, 2021년에는 초계함 2척 그리고 2022년에 원해경비함(OPV) 6척 등 10척을 발주했다. 2020년 5월 18일,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한 2600톤급 호세리잘함을 필리핀으로 출발했다. 필리핀 해군이 운용 중인 호세리잘함은 올해 4월 22일부터 5월 10일까지 실시된 미-필 합동 군사훈련 ‘발리카탄(Balikatan)’에 참가했으며, 5월 8일 진행된 함대함 미사일 발사 훈련에서 약 36㎞ 떨어진 표적을 완벽히 명중시켰다. 이번 훈련에는 필리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 길버트 테오도로 국방부 장관 등이 참관했다.
HD현대중공업은 필리핀 정부가 진행하는 ‘호라이즌’ 사업을 계속 진행 중에 있으며, 2019년 11월 8일, 1번함인 호세리잘함에 이어 2번함 안토니오루나함이 진수됐다. 이어 2021년 2월 5일, 안토니오루나함이 울산을 출발하여 9일 필리핀에 도착했다. 안토니오루나함은 동년 3월 19일 공식 취역했다. 호위함에 이어 2023년 11월 22일, 3200톤급 필리핀 초계함 중 1번함 기공식도 진행됐다. 건조 중인 3200톤급 초계함은 길이 118.4m, 폭 14.9m, 순항 속도 15노트(약 28km/h), 항속 거리가 4500해리(8330km)이며, 대함(對艦) 미사일과 수직발사대, AESA 레이더 등 탑재된다. 초계함 2척 모두 2024년 진수를 거쳐 2025년에 필리핀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참고자료
- https://www.pma.edu.ph/about.php
- https://overseas.mofa.go.kr/ph-ko/brd/m_3641/view.do?seq=921512&srchFr=&%3BsrchTo=&%3BsrchWord=&%3BsrchTp=&%3Bmulti_itm_seq=0&%3Bitm_seq_1=0&%3Bitm_seq_2=0&%3Bcompany_cd=&%3Bcompany_nm=
- 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03766
- https://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93
- http://www.haes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644
-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311221541367930086
- https://cebudailynews.inquirer.net/572635/pma-graduating-class-of-2024-topped-by-female-cadet-from-surigao
- https://www.philstar.com/headlines/2024/05/11/2354215/peasants-daughter-surigao-tops-2024-pma-class
- https://www.philstar.com/business/2024/05/31/2359374/pal-halt-baguio-cebu-flights
'필리핀 > 역사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헬레스] 필리핀사회사박물관(Museum of Philippine Social History) (5) | 2024.08.29 |
---|---|
필리핀 정부, 위안부 문제 해결 가능할까? (0) | 2024.08.11 |
6월 12일은 필리핀 독립기념일(Philippine Independence Day) (2) | 2024.06.12 |
문순득, 조선인 최초로 필리핀을 다녀오다 (0) | 2024.05.01 |
[Castillejos] 라몬 막사이사이 박물관(Museo ni Ramon Magsaysay) (1)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