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caue] 필리핀 성 김대건 신부 성당(Shrine of St. Andrew Kim Tae-gon)

2024. 9. 6. 10:04필리핀/역사와 사회

반응형

오는 9월 16일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이하 김대건 신부) 선종 178년이 되는 날이다. 1821년 8월 21일에 태어난 김대건 신부는 성 피에르 모방 신부 추천으로 1837년 6월 마카오 파리 외방전교회 극동 대표부에서 신학 공부를 시작했다. 김대건 신부는 1845년 상해 진지아시앙(金家巷) 성당에서 사제서품을 받고 조선인 최초로 가톨릭 사제가 됐으며, 1년 후인 1846년 9월 16일에 향년 25세 나이로 새남터에서 순교했다. 함께 순교한 78명과 함께 1925년에 시복됐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1984년에 김대건 신부를 성인으로 추대했다. 순교 177주년인 작년 9월 16일에 가톨릭 총본산인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외벽 450㎝ 높이에 높이 3.77m, 가로 1.83m, 폭 1.20m 규모로 김대건 신부 성상이 설치됐다. 이는 바티칸에 세워진 첫 아시아 성인 성상이자, 수도회 창설자가 아닌 성인으로는 처음으로 성 베드로 대성당 외벽에 성상이 설치된 것이다. 김대건 신부 성상 제작에 8개월이 소요됐으며, 성상 축복식에 한국 주교단 등 한국 가톨릭교회 대표단 400여명이 참석했다. 

이보다 앞선 지난 2021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로 김대건 신부가 선정되기도 했다. 유네스코는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을 맞아 김대건 신부 삶과 업적이 유네스코가 추구하는 이념과 부합한다고 밝히면서 김대건 신부를 세계기념인물로 선정했다. 탄생 200주년 기념으로 2021년 11월에 김대건 신부 전기영화인 <탄생> 촬영이 시작됐다. 해당 영화에는 배우 안성기를 비롯하여 이문식, 윤경호, 김강우, 정유미 등 많은 가톨릭 신자들이 출연했으며, 이후 바티칸에서도 상영회를 열었다. 한편 국내에도 성인 김대건을 기리는 장소는 많다. 논산시, 대구광역시 그리고 인천광역시 등에는 김대건 신부 이름을 딴 대건중학교와 대건고등학교가 있다. 서강대학교 안에는 김대건관이, 가톨릭관동대학교에는 대건관이 있다. 지난 2016년에는 포항 오천중·고 다목적강당인 성 김대건 관이 문을 열기도 했다. 국내 많은 성당 역시 주보성인으로 김대건 신부를 모시고 있는데 사병 양성 요람인 논산 육군훈련소 성당도 김대건 신부를 주보성인으로 모시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성당 중 하나이자 한국 가톨릭 상징인 명동성당에서도 김대건 신부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마카오에 머물던 김대건 신부는 민중봉기와 아편전쟁 등으로 인해 유학 생활 중 일부를 필리핀에서 계속할 수밖에 없었다. 김대건 신부는 마닐라를 거쳐 서북쪽 불라깐 보까웨 롤롬보이(Lolomboy, Bocaue, Bulacan) 지역으로 이동하여 공부를 지속했다. 현재 롤롬보이에 가면 성 김대건 신부 성당(Shrine of St. Andrew Kim Tae-gon)’을 볼 수 있다. 지난 2002년 8월, 김대건 신부를 모시는 성안드레아수녀회’가 해당 부지를 매입하여 이후로 성지 관리를 맡고 있다. 성당 부지에서는 과거 목이 없는 귀신이 출몰한다는 이야기도 떠돌던 곳이었다. 하지만 성지가 조성된 이후로 귀신을 봤다는 이야기는 더 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 성 김대건 신부 성당’을 필리핀 사람들은 한국 사찰(Korean temple)’이라 부르지만, 인근에 사는 사람들도 김대건 신부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있다. 성당에 있는 로셀 수녀(Sr. Rocel Peralta)는 성당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한국 성인을 널리 알리는 것이 자신이 해야만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로셀  수녀는 해당 지역 출신이며, 성안드레아수녀회 소속으로 있는 유일한 필리핀인이기도 하다.

《ABS-CBN》과 인터뷰에 따르면 어린 시절 로셀 수녀는 유명한 관광지도 아닌 롤롬보이를 찾는 한국인들을 이해할 수 없었다고 한다. 수녀가 된 이후 개인적인 사정으로 수녀원을 떠난 로셀 수녀는 성지를 찾는 한국인들에게 영어와 따갈로그를 가르치는 일도 했다. 성지를 찾는 한국인들을 보면서 로셀 수녀는 자신이 해야만 하는 일에 대해 다시 깨닫게 됐다고 전했다. 현재 로셀 수녀는 사진 촬영을 위해 성당을 찾는 필리핀 사람들에게 촬영 후 잠시 성당에 들러 기도할 것을 권하고 있다. 로셀 수녀는 오고 가는 대화 속에서 성당을 찾아오는 한국 드라마와 음악을 좋아하는 필리핀 젊은이들에게 타의모범이 될 ‘오빠’, 그것도 그냥 오빠가 아닌 ‘성스러운 오빠(HOLY OPPA)’에 대해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로셀 수녀는 K-pop과 K-드라마의 인기에 감사하고 있다. 조선 왕조 역사와 당시 박해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방문객들은 자신이 봤던 한국 드라마 덕분에 김대건 신부 의복과 성당 건축 양식이 다르다는 점을 쉽게 알아봅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로셀 수녀는 “오늘날 청년들은 매우 역동적이고 용감합니다. 김대건 신부 역시 그랬다”라고 덧붙였다.  

필리핀 언론이 ‘성스러운 오빠(HOLY OPPA)’라고 묘사한 김대건 신부는 고국으로 보내는 편지를 통해 현재 성당이 있는 롤롬보이 지역이 공부와 명상에 적합한 곳이라고 기술했다. 해당 지역에는 망고나무와 대나무가 많았고, 김대건 신부는 망고나무 그늘 아래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김대건 신부는 라틴어로 쓴 편지에 “마닐라에서도 꽤 잘 지냈지만, 여기가 더 좋습니다. 우리는 혼자 있고, 아무도 우리를 방해하지 않는다. 우리는 원하는 만큼 공부합니다”라고 적었다. 하지만 그늘과 위안을 선사했던 망고나무 아래에서 늘 즐거운 소식만 들을 수 있던 것은 아니었다. 1839년 9월, 건강을 회복한 김대건 신부가 손에 든 편지에는 아버지 김제준이 순교했다는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고향과 부모를 그리워하며 거닐던 망고나무 아래에서 그는 자식으로서 죽은 아버지를 위해 눈물을 흘렸다. 순교한 아버지 소식에 가슴을 부여잡던 김대건 신부 모습을 모두 지켜봤던 망고나무는 폭풍우에 고사했다. 성인 곁을 지켰던 그 망고나무는 살아있지 않지만 그 주변에는 그를 기리기 위한 예배당, 박물관 및 기타 건축물들이 들어서서 김대건 신부를 기리고 있다.   

성지 안에는 최양업 신부 동상도 있다. 최양업 신부는 최초로 선발된 신학생으로 김대건 신부와 같이 마카오에서 공부했다. 최양업 신부 역시 마카오를 떠나 필리핀에 체류하면서 공부를 지속했고, 1849년에 사제서품을 받았다. 김대건 신부가 ‘피의 순교자’로 알려져 있다면 최양업 신부는 ‘땀의 순교자’로 불릴 정도로 귀국 후 바쁘게 조선 땅을 누비고 다녔다. 조선으로 돌아온 최양업 신부는 12년 동안 매해 7000리(약 2800km) 이상을 걸어 각지에 흩어진 공소 127곳에서 고해성사와 미사를 집전했다. 바쁠 때에는 하루 80~100리(약 32~40km)를 걸으며 다닌 관계로 한 달에 나흘밖에 잠을 못 잤다는 이야기도 유명하다. 최양업 신부는 1861년 6월 15일, 과로에 장티푸스가 겹치면서 경북 문경 인근에서 쓰러진 후 선종했다. 최양업 신부를 기리기 위해 서강대학교에 최양업관이 있으며,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인천가톨릭대학교 강화캠퍼스에도 최양업관이 있다. 한편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는 최양업 신부에 대한 시복시성을 추진했으나, 2021년 5월 교황청 시성성은 기적 증거가 부족하다고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 통보했다. 최양업 신부는 순교한 것이 아니기에 증거자로 분류되어 있고, 시복을 위해서는 기적 심사를 받아야 한다. 이에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2021년 10월부터 시복 운동을 재추진 중이며, 기적 관련 제보를 각 교구별로 다시 받고 있다. 


참고자료
- 《The Macao News》 (2021. 7. 11). Andrew Kim Taegon: The Macao seminary student who became a Korean Catholic saint, https://macaonews.org/life/andrew-kim-taegon-the-macao-seminary-student-who-became-a-korean-catholic-saint/#related
- 《ABS-CBN》 (2023. 4. 4). Korea’s first Catholic priest and patron saint found refuge in Philippine barrio, https://news.abs-cbn.com/spotlight/04/04/23/koreas-patron-saint-found-refuge-in-philippine-barrio
- 《Philstar》 (2024. 12. 28). South Korea’s patron saint who lived, has shrine in Philippines given Vatican statue, https://www.philstar.com/lifestyle/arts-and-culture/2023/12/28/2321953/south-koreas-patron-saint-who-lived-has-shrine-philippines-given-vatican-statue
- https://cbck.or.kr/Notice/20210947


반응형